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청년도약계좌 지원 내용

by idea-file-1 2025. 3. 20.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청년도약계좌는 2025년 더 많은 혜택들을 추가하였는데, 청년도약계좌의 지원내용을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가입기간, 적금방식, 적금이율, 비과세혜택, 정부기여금에 따른 지원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더욱 새로워진 지원 내용과 혜택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지원 내용

 

가입기간

 

가입기간은 5년(60개월)입니다. 만기 도래 전이라도 3년 이상 유지한 후 중도 해지하는 경우라면, 비과세 유지 및 기여금지급( 60%)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또한  2년 이상, 800만 원 이상 납입 시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을 최소 5 ~ 10점(KCB, NICE 기준)을 부여해 준다고 합니다.  

 

적금방식

 

월 최대 70만원 이하로 자유적립식이며, 회차별 최소 1천 원 이상, 1천 원 단위로 입금하면 된다고 합니다. 또한 2년 이상 유지한 경우, 납입원금의 40% 이내에서 부분인출서비스 이용도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적금이율

 

이율은 최대 6%라고 합니다. 기본금리 3.8% ~ 4.5%로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이고, 이후 2년 동안은 변동금리를 적용한다고 합니다.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청년도약계좌 금리비교) 사이트에서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비과세 혜택

 

만기가 도래하여 해지 시 은행금리에 대해 비과세 혜택(조특법 91조의22)이 주어진다고 합니다.  

 

정부기여금

 

개인소득의 수준 및 적금의 납입금액에 따라 정부기여금이 지급된다고 합니다. 단, 개인소득 6천만 원 초과 및 '소득 없음'의 경우에는 정부기여금이 미지급됩니다. 그리고 육아휴직급여(육아휴직수당 포함) 및 군장병급여만 있는 경우에는 정부기여금 매칭비율은 6% 적용한다고 합니다. 개인소득에 따른 월 최대 기여금은 서민금융진흥원 사이트에서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자산형성을 위해 여러가지 혜택을 제공하는 계좌이니 대상자라면 지원 내용을 사이트를 통해 알아보시기 바랍니다.